제 목 | 원주 먹거리와 공공급식 지원을 위하여 | |
---|---|---|
발언자 | 조상숙 | ![]() |
회기 | 제222회 | |
일시 | 2020-12-18 | |
조상숙 의원입니다.
모두에게 올해처럼 힘든 한 해는 없었을 것 같지만, 이런 어려움 속에서도 묵묵히 일자리를 지키고, 사회를 지탱하고, 가족과 가정을 지키고 이겨나가는 원주 시민과 공무원 여러분께 박수와 격려를 드립니다. 그리고 의장님과 동료의원 여러분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코로나19는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헛점을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지구촌이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였지만, 작은 리스크에도 세계가 요동치고 있습니다. 특히 식량은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와 곡물투기자본이 어우러져 오히려 위기감이 커지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국가별, 지역별로 식량안보, 먹거리전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먹거리 컨트롤타워를 세우고 종합적인 푸드플랜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푸드플랜이란, 원주시 9,600ha 농경지와 생산농민으로부터 시민과 급식에 이르기까지 푸드시스템을 원활하게 구축하기 위해 상품과 사람, 환경의 선순환 구조를 복원하고 지속가능한 농업, 사회, 환경을 실현하는 정책이자 실천전략을 말합니다. 그리고 수많은 이해관계와 얽힌 먹거리 순환고리에서 각 주체 간 가치와 정책 간 갈등은 항상 존재하는데, 이를 중재하고 원주시 농식품 발전이라는 하나의 목표로 수렴시킬 먹거리 컨트롤타워가 필요합니다. 이는 우리 농촌을 살리고, 상생발전의 핵심전략으로 지역농산물을 공급할 생산계획이 뒤따라야 하며, 먹거리의 흐름이 수치화 될 수 있습니다. 물리적 거리 이점을 살리고 신선먹거리에 대한 보장이 가능해지므로 대량재배와 규모화 된 농업의 틈바구니에서 원주시의 소농과 고령 농민도 살아남을 가능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 지역 푸드플랜 구축은 문재인정부 100대 국정과제이며, 농림축산식품부의 최우선 과제이기도 합니다. 무엇보다 공공급식은 푸드플랜을 실현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마중물입니다. 지난해 우리 지역에 주 사무소를 두고 있으면서 급식용 쌀을 다른 지역 농산물로 사용하는 공공기관을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동료의원님과 그리고 해당 조합장님과 함께 우리 원주토토미를 들고 가 그 쌀로 밥을 짓도록 간곡히 요청하여 관철시킨 적이 있습니다. 작은 예이지만 우리 원주시에도 우리 먹거리를 우선 공급할 수 있도록 생산, 가공 및 물류기반 확충의 필요를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공공급식에 공급되는 식재료가 원주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 중심의 직거래 방식으로 공급되도록 조달체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단체급식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시민의 보편적인 먹거리 복지를 증진시키면서, 나아가 민·관 협치를 통하여 지역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준비해야 합니다. 현재 원주시에서는 공공급식 관련 업무를 로컬푸드과에서 원주푸드센터를 통해 처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적용대상이나 지원방식 등 관리측면에서 미흡하고 역량과 역할을 확대 강화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지역농산물 공공급식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는 원주지역 경제가 순환형 자립공유경제 생태계가 구축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학교와 어린이집은 물론, 군부대와 지역보건의료기관, 사회복지시설 등 국가나 시에서 보조금을 지원받아 단체급식을 운영하는 기관들은 우리 시의 우수한 지역농산물을 식재료로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지역주민의 보편적인 먹거리 복지를 증진시키며, 나아가 지역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원주시에서도 공공급식 지원을 비롯한 우리 시의 통합적인 푸드플랜을 만들고, 먹거리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아낌없이 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공공급식에 참여하는 생산자와 각 기관·단체, 시설 등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원주푸드 소비 촉진 방안을 고민해 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코로나19와 사회 양극화로 더 힘든 겨울입니다. 하지만 코로나19는 K방역과 백신으로 극복하고, 사회 양극화는 원주푸드 이용과 공공급식의 지혜를 모으면 훌륭한 극복 방안이 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원주시민, 지속가능한 원주농민, 더불어 사는 원주경제가 구현되는 신축년을 만들어보길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회기 | 발언자 | 발언제목 | 일시 |
---|---|---|---|
제223회 | 곽문근 | 원주시 정체성 제고를 위한 무형문화재 지정 노력 건의 | 2021-01-27 |
제223회 | 전병선 | 자연재해위험지구『점말』 | 2021-01-27 |
제223회 | 유선자 | 아동학대 전담공무원 및 아동보호전담요원의 조속한 배치요청 | 2021-01-27 |
제222회 | 최미옥 | 신설 원주역·서원주역의 주차장 확대 필요 | 2020-12-18 |
제222회 | 곽문근 | 해미산성의 옛길 복원 건의 | 2020-12-18 |
제222회 | 조상숙 | 원주 먹거리와 공공급식 지원을 위하여 | 2020-12-18 |
제222회 | 전병선 | 우리 원주시의회는? | 2020-11-20 |
제222회 | 류인출 | 공영주차장의 운영 및 관리체계 개선 요구 | 2020-11-20 |
제222회 | 조상숙 | 민간위탁사업 운영에 대하여 | 2020-11-20 |
제222회 | 장영덕 | 강원FC 축구전용경기장 최적지는 원주 | 2020-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