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회의록검색 > 5분자유발언

5분자유발언

5분자유발언 보기 : 제목, 발언자, 회기, 일시로 구분
제 목 친환경 유기농업의 의미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 부족
발언자 류화규 류화규 의원
회기 제96회
일시 2005-07-07
   소초면 출신 류화규 의원입니다. 

   친환경 유기농업은 공생과 순환 자립과 자급을 소중히 여기는 생명가치가 중심 되는 농업과 삶을 열어가는 생명문화운동입니다. 그러나 아직 이런 친환경 유기농업의 의미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부족합니다. 다시 말해 농업문제 해결과 사회현실의 제반모순을 극복하고 보다 나은 내일을 위한 생명문화운동으로서의 친환경 유기농업에 대한 인식 토대가 여전히 연약한 상태입니다. 

   유기적이란 말이 갖는 의미가 상호 의존이 긴밀하게 된다라는 것인데, 친환경 유기농업은 인간이 자연생태계 속에서 상생, 순환, 자립하는 농사방법인 동시에 지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 간에 공생 공존하는 유기적인 삶을 위한 본질적인 것입니다. 화학비료와 농약 등의 합성화학 물질들은 이런 농업이나 삶의 모습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생명을 죽이고 빼앗는 물질입니다. 

   이제 자연과 인관 인간과 인간이 서로 공생 공존할 수 있는 친환경 유기농업이 바탕이 되지 않는 관행 화학농업으로서는 우리 농업과 삶의 밝은 내일과 아름다운 미래를 전망하기는 어렵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친환경 유기농업은 하나의 농사기술만이 아니라, 단순히 안전한 먹을거리를 만드는 데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생명가치가 중심 되는 우리 농업과 삶의 원형을 찾아가는 일입니다. 

   따라서 같은 농사를 짓고 있지만 친환경 유기농업으로 농사짓는 사람 사이에 사물을 바라보는 가치관이나 살아가는 생활양식이 근본적으로 다르며 또 달라야 합니다. 이것은 친환경 유기농산물을 소비하는 사람과 일반농산물을 소비하는 사람 사이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부의 입장에서는 친환경 유기농업을 고부가가치 창출과 농업소득증대를 위한 새로운 하나의 생산방법이나 재배기술 정도로 인식하고 있는 듯 합니다.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친환경 유기농업을 좀 더 돈을 잘 벌 수 있는 수단으로 이해하는 상혼도 없지 않습니다. 그만큼 농촌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자기들만 잘 먹고 잘 살겠다는 이기적 보신주의에서 친환경 유기농산물을 찾고 있는 경우도 없지 않습니다. 이것 모두 극복해야 할 것입니다. 조물주가 창조한 생명계의 존재질서는 모든 피조물이 서로 공생 공존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모든 피조물들이 공생 공존하지 않으면 파멸될 수밖에 없습니다. 자연 생태계 속에서 모든 생명은 하나의 연쇄 고리로 얽혀 공생 공존하고 있습니다. 인간도 어디까지나 자연생태계의 일원으로서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인간이 자연과 공생 공존하지 못하면 인간끼리의 공생 공존도 불가능합니다. 

   원주시도 건강도시로 지정이 되었습니다마는 건강의료기기 자연생태환경 친환경 유기농 농산물과 공생 공존하여야 할 때라고 본 의원은 사료가 됩니다. 친환경 유기농업은 대자연의 섭리에 눈을 뜨고 생명의 세계관에 의한 인간다운 삶의 모습을 찾는 일입니다. 

   또한, 자연생태계와 조화되는 친환경 유기농업은 진정한 농업의 즐거움과 삶의 질에 충실함을 느끼게 합니다. 친환경 유기농업이 아닌 관행 화학농업으로서는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 간의 공생 공존은 아예 생각할 수 없습니다. 관행 화학농업은 서로 죽이고 빼앗는 농법이며, 친환경 유기농업은 서로 살리는 농법입니다. 관행 화학농업으로 생산된 오염 농산물을 매개로 도시와 농촌이, 생산자와 소비자가 공생 공존한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관행 화학농업에는 공생 공존하는 이웃이 없습니다. 

   이와 달리 친환경 유기농업은 바로 더불어 사는 인류의 밝은 미래를 열어갑니다. 상생, 순환, 자립의 가치가 아닌 경제효율과 이윤추구라는 경제합리주의와 경제지상주의의 관점에 서 있는 한 우리의 농업과 삶에 밝은 희망을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이제 우리 농업과 삶의 모습을 생명가치가 실현되는 방향으로 과감히 전환해 가야 합니다. 식생활의 건전화와 환경개선을 위한 농업인의 사명을 호소하고 생산자와 소비자의 상호 이해와 연대의 길을 적극 도모해 가야 합니다. 이렇게 열심히 노력해 가면 이해타산과 이해손실을 뛰어넘는 기쁨과 긍지를 느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5분자유발언 : 회기, 발언자, 발언제목, 일시, 조회수로 구분
회기 발언자 발언제목 일시
제97회 장학성 원주시 공무원의 역할 2005-09-05
제97회 류화규 농촌이 살아야 도시도 산다 2005-09-05
제97회 정남교 급격한 도시규모와 인구증가에 따른 문제점 2005-09-05
제96회 우종완 농촌건강 장수마을 육성사업 2005-07-07
제96회 류화규 친환경 유기농업의 의미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 부족 2005-07-07
제93회 황보경 봉화산 택지개발사업 관련 2005-02-25
제93회 정남교 복리증진을 위해 노력촉구 2005-02-21
제93회 류화규 지방화 시대 노인 권익운동 전개 2005-02-21
제89회 정남교 자활사업의 추진배경과 성공적인 진행을 위한 노력 2004-09-20
제86회 정남교 「운곡대상」제정관련 2004-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