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행동하는 시민 양심이 깨끗한 원주시를 만듭니다. | |
---|---|---|
발언자 | 이숙은 | ![]() |
회기 | 제224회 | |
일시 | 2021-03-23 | |
안녕하십니까? 이숙은입니다.
오늘 5분 발언의 기회를 주신 유석연 의장님과 동료의원 여러분! 그리고 원주시 발전과 시민의 안녕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하시는 원창묵 시장님과 1,800여 공직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작년은 코로나 19로 계절의 변화를 모르고 지나간 듯합니다. 다시 찾아온 이 봄은 너무 반갑고 고맙게 느껴집니다. 예전 같았으면 지역마다 봄꽃축제로 새로 찾아온 봄을 반겼을 것이고, 각 방송국마다 봄꽃 개화의 상황을 알렸을 것입니다. 올해는 코로나 상황이 아직 여의치 않아 각종 축제들은 취소되고 있지만, 상황에 맞게 봄을 느껴보시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마음이 조금 듭니다. 봄을 느끼기 전, 잠시 주위를 둘러보았습니다. 원주천, 인적이 드문 이면도로 후미진 골목길에는 어김없이 마구 길가에 버려진 쓰레기들이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의 길거리에 버려지는 쓰레기 상황을 품목별로 분석하면 1위가 담배꽁초, 뒤이어 플라스틱 음료병, 비닐 식품봉지, 플라스틱 테이크아웃 용기, 식품포장재순이었다고 합니다. 이는 오션 컨서번시(Ocean Conservancy)라는 미국 해양환경보호단체가 2019년도 116개국 해변에서 하루 동안 쓰레기 수거하는 날을 정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4,400여 명이 참가하여 63톤, 4만 7,200여 개의 쓰레기를 수거하였으며, 그것을 분석한 결과라고 합니다. 이 단체는 매년 9월 셋째 주, 남극대륙을 제외한 전 세계 해변에서 쓰레기를 수거하는 행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2019년 하루 동안 전 세계에서 수거한 쓰레기는 전부 합쳐서 9,400톤, 개수로는 3,250만 개였습니다. 94만 명이 넘는 자원봉사자들이 1인당 평균 10kg의 쓰레기를 수거하였습니다. 이렇듯 지구는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태평양 한가운데, 지도는 물론이고, GPS에도 잘 안 잡히는 섬 GPGP(Great Pacific Garbage Patch)라는 일명, 쓰레기 섬이 있습니다. 이 쓰레기 섬은 약 1조 8,000억 개의 플라스틱 쓰레기들로 무게는 약 8만 톤에 이른다고 합니다. 이러한 플라스틱들은 일본과 중국, 한국의 바다에서 버려진 쓰레기가 순환해류를 타고 떠다니다가 GPGP로 오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지구상에는 이 GPGP를 포함해 5개의 거대한 쓰레기 섬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쓰레기 섬은 그 양과 무게뿐만 아니라, 미세플라스틱이라는 또 다른 문제가 야기되고 있습니다. 각종 쓰레기를 섭취한 해양생물들은 고스란히 인간의 식량으로 우리의 식탁에 오르게 되는데, 환경은 물론 우리의 건강에도 치명적인 문제를 발생시키는 심각한 상황이 닥쳐오고 있습니다. 인류에게 편리함을 주던 플라스틱이 이제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쓰레기 섬은 우리와 무관한 문제가 아닙니다. 더불어 원주시에 버려지는 쓰레기도 우리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무의식적인 행동으로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쓰레기를 성질별로 잘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배출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고 무단으로 버리는 의식은 개선되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우리는 오늘 두 가지 제안을 드리고자 합니다. 저는 첫째, 원주시민들이 공직자분들과 즉, 민관이 함께 월 1∼2회 환경정화운동을 실시하기를 제안합니다. 지금도 정기적인 청소 및 무단투기 단속의 날을 정하여 에코클린을 추진하고 있습니다만, 좀 더 실질적인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진을 당부드립니다. 둘째, 쓰레기는 지정된 장소에 배출방법에 따라 버리고, 우리 모두의 가방 속에 장바구니와 개인 전용 컵을 지참하는 등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캠페인을 제안합니다. 우리는 그동안 더(#) 깨끗한 원주 만들기, 에코클린 원주 등 수없이 많은 청소의 날을 정하여 쾌적하고 살기 좋은 원주를 만들기 위하여 노력을 해왔습니다. 또한 지금도 그 어딘가에서 진행되고 있을 것입니다. 곳곳에서 노력하시는 분들의 노고를 이 자리를 빌려 감사를 드립니다. 끝까지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회기 | 발언자 | 발언제목 | 일시 |
---|---|---|---|
제225회 | 박호빈 | 건설현장 근로자에 대한 환경교육 실시 | 2021-04-26 |
제224회 | 김지헌 | 원주시 청년 정책에 관하여 | 2021-03-23 |
제224회 | 유선자 | 어린이 생존수영교육은 필수입니다. | 2021-03-23 |
제224회 | 최미옥 | 인권침해, 피해자의 감수성으로 말합니다!!:‘최미옥=모자라다’의 딜레마 | 2021-03-23 |
제224회 | 문정환 | 『식품위생법』 개정에 따른 옥외영업을 위한 후속조치 조속 시행 | 2021-03-23 |
제224회 | 이숙은 | 행동하는 시민 양심이 깨끗한 원주시를 만듭니다. | 2021-03-23 |
제224회 | 곽희운 | 원주시 농산물도매시장 이전 재검토 요구 | 2021-03-23 |
제224회 | 조상숙 | 쓰레기 없는 원주를 위하여 | 2021-03-23 |
제224회 | 최미옥 | 스마트 모빌리티(Smart Mobility), 원주시 미래산업의 주역으로!! | 2021-03-17 |
제224회 | 황기섭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 결제 시스템 도입이 시급합니다 | 2021-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