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깨끗한 도시 원주"를 위한 제언 | |
---|---|---|
발언자 | 김정희 | ![]() |
회기 | 제230회 | |
일시 | 2022-01-26 | |
중앙, 원인, 일산, 학성, 태장1·2동을 지역구로 둔 김정희 의원입니다.
우리 시는 몇 년 전 “더(#) 깨끗한 원주 만들기” 사업을 펼쳐, 시민으로부터 좋은 호응을 얻은 바 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더 활성화되지 못하여 아쉬운 마음입니다. 깨끗한 도시 원주, 우리 마을 가꾸기 차원에서 몇 가지 제안 드리고자 합니다. 첫 번째는, 흉물스럽게 방치되고 있는 토목공사용 자재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사는 곳 주변을 살펴보면, 여기저기서 심심치 않게 토목공사용 자재인 흄관, U관, 경계석 등은 물론이고, 전봇대가 흉물스럽게 방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망가진 것도 있습니다마는, 대부분은 사용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공사 자재들이 이렇게 방치되는 이유는, 인력으로는 옮길 수 없는 무게이다 보니, 자재를 들 수 있는 장비와 옮길 수 있는 차량까지 필요하여 추가로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하여 그냥 방치하고 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우리 시는 토목공사 중 베어질 위기에 처한 좋은 나무를 활용하기 위해 한 곳에 옮겨 심어 보관하였다가, 필요한 사람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나무은행을 운영하였던 적이 있습니다. 비용은 다소 들겠지만, 나무은행을 운영했던 것처럼 여기저기 흉물스럽게 방치되어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토목공사용 자재들을 한곳에 모아 활용하면, 소중한 자원도 활용되고 환경미화도 되어 일거양득의 좋은 결과가 만들어질 것입니다. 곳곳에 방치되어 있는 대형 공사용 자재들을 모아 폐기할 것은 정상적으로 폐기하고, 활용 가능한 자재들은 활용 방안을 강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환경미화원의 가로청소 도구의 보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가로청소 환경미화원이 청소를 하려면 쓰레기를 담는 이동 카트와 빗자루, 쓰레받기, 집게 등의 청소도구가 필요합니다. 또한, 청소가 끝난 후 이들 도구를 보관할 장소도 당연히 필요하게 됩니다. 그러나 청소도구 보관장소가 마땅치 않아 대다수의 환경미화원은 도로 옆 후미진 곳에 감추듯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개중에는 청소도구 보관장을 막사 형태로 만들어 보관하기도 합니다. 지정된 청소도구 보관 장소가 없고 보관함도 없다 보니, 청소도구를 보관하는 장소 주변이 망가진 청소도구로 오히려 미관을 해치고, 조잡하게 만든 청소도구 보관장이 시민의 눈살을 찌푸리게 합니다. 가로청소 도구 보관장소 정비와 함께, 편리하고 깨끗하게 청소도구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 보급의 필요성을 검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단독 주택지역 폐기물 배출 방법 홍보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일반 생활쓰레기는 종량제 봉투에 담아 월·수·금에 배출해야 합니다. 음식물쓰레기는 매일 수거를 원칙으로 하지만, 지역별로 수거회사와 협의해 월·수·금이나 화·목·토로 구분해서 배출해야 하고, 재활용 가능 폐기물 중 종이류, 종이팩류, 유리병은 월·목에, 페트류, 플라스틱류, 캔, 고철류는 화·금에, 폐비닐류는 월·수·금에 배출해야 합니다. 또한, 읍·면 지역에서는 재활용 가능 폐기물 일체를 수·토에 배출해야 합니다. 우리 시는 이 복잡한 폐기물 배출 방법을 정착시키기 위해서 전단지나 현수막 등 다양한 방법을 홍보하고 있으나, 시민은 어떤 폐기물을 어떤 요일에 배출해야 할지 몰라, 그때마다 배출 요일을 확인하기 위해 홍보물을 찾아봐야 하는 실정입니다.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기본적인 폐기물 배출 방법을 인쇄하여 보급하면, 홍보비용도 줄이면서 요일별 분리배출 제도를 빠르게 정착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가능 여부를 적극 검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직도 외지고 후미진 곳에는 어김없이 불법투기 쓰레기가 널려 있습니다. 성숙한 선진 시민의식 함양을 위해 다 함께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시장 임기 동안 원주시 발전을 위해 크게 기여하신 원창묵 원주시장님께 그동안의 많은 애쓰심에 마음 다해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시장님의 새로운 시작을 응원드리며, 행복하고 건강한 나날들만 가득하길 진심으로 기원드립니다. 시장님, 그동안 정말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회기 | 발언자 | 발언제목 | 일시 |
---|---|---|---|
제230회 | 김정희 | "깨끗한 도시 원주"를 위한 제언 | 2022-01-26 |
제230회 | 박호빈 | "배달오토바이의 전기이륜차 전환 지원을 통한 주택가 소음공해 저감방안" | 2022-01-20 |
제229회 | 신재섭 | 강원도와 춘천시의 강원도청 신축부지졸속 합의를 규탄한다 | 2021-12-17 |
제229회 | 김지헌 | 원주시 장애인 보조기구 수리비 지원확대와 보험지원이 필요합니다. | 2021-12-17 |
제229회 | 최미옥 | 원주시의 <건전한 물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제언 | 2021-12-17 |
제229회 | 장영덕 | 청년 정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전담 조직 신설 필요성 | 2021-12-17 |
제229회 | 이숙은 | 코로나19 종식을 위해서는 개인방역이 중요합니다. | 2021-12-17 |
제229회 | 조상숙 | 우리는 천사입니다 | 2021-12-17 |
제229회 | 유선자 | 원주천 일대 원주시민과 어린이를 위한 생태놀이터 조성 건의 | 2021-12-17 |
제229회 | 곽문근 | 원주시 시내버스, 해결방안은 없는가? | 2021-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