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원주시 농업발전의 비전 | |
---|---|---|
질문자 | 이준희 | ![]() |
답변자 | 농업기술센터소장 변상은 | |
회기 | 제127회 | |
일시 | 2008-12-02 | |
조회수 | 113 | |
질문 |
1)기 용역과정에 있는 원주 농업·농촌발전 5개년계획의 수립과정에 반영된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전략은 무엇인지?
2)2008년도 현재와 비교하여 5개년계획이 완료되는 2013년도에는 어떤 분야에서 얼마만큼의 농민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3)식품산업에 대한 우리 원주시의 생각과 현 조직체계상 문제점과 앞으로 육성하고 발전시키기에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하는 식품산업 분야는 무엇인지? 4)우리 원주시의 2008년도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과 2007년도 대비 2008년도 수확량 증감율, 향후 수확량 증대를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5)우리 지역 토토미의 실적이 저조한 원인과 향후 대책은 무엇인지? 6)상호교류를 통하여 농업분야에서 벤치마킹을 하였거나 실질적으로 우리 원주시 농업행정과 농업에 도움이 되었던 사례가 있었다면, 그리고 앞으로 원주시의 기후환경과 농업환경이 유사하여 벤치마킹할 만한 선진도시가 있다면 어디인지? 7)치악산한우 경매장의 선정이 당초 부론지역에서 호저면으로 변경, 결정된 경위는 무엇인지? |
|
답변 |
1)농업부문에서 발생되고 있는 온실가스는 벼농사와 축산분야에서 발생하는 것으로서, 질소비료 시용과 가축분뇨에서 발생하는 아산화질소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농작물의 재배방식과 가축사양관리 개선 등을 통하여 온실가스 감축기술 개발로 적절한 활용방안이 마련된다면 저탄소 녹색성장 전략을 원주시 농업·농촌발전계획에 활용하겠음.
2)농촌경제원의 자료에 의하면 중장기 농가소득 전망은 2007년도에 3,500만원에서 2013년에 4,000만원으로 연평균 2.9%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통계청에서 발표한 강원도의 농가소득은 2007년도에 3,030만원으로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나, 우리 시에서는 고소득 작목 개발과 농촌관광 활성화 등을 현재 용역 중인 농업·농촌발전 5개년계획에 반영하여 2013년에 농가소득 목표를 설정하여 추진하겠음. 3)농산물을 가공식품산업까지 연계 추진하기 위하여 상지대학교에 농업전문 창업보육센터를 건립 중에 있으며, 2009년 6월에 완공되면 가공식품 개발 분야의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겠으며, 현재의 조직체계는 장비 및 전문인력이 부족하여 보강하도록 노력하겠으며, 경쟁력 있는 식품산업은 기능성 발효식품이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되어 이 분야를 적극 개발하여 추진해 나가겠음. 4)원주쌀 토토미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2007년도에 452㎏에서 올해에는 480㎏으로 6%가 증가되었으며, 향후 생산량과 미질 향상을 위하여 맞춤형 비료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겠으며, 볏짚 환원과 녹비 호맥재배를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음. 5)문막농협 RPC에 원주쌀 토토미가 2007년도에는 전국 5대 명품으로 선정되었으나 금년에는 친환경 완전미 생산시설 설치사업 추진으로 인하여 외지에서 도정하는 등 쌀 품질 평가에 적극적으로 대비하지 못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하였으나, 2009년도에는 고품질 쌀을 생산하여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음. 6)국제자매도시와 상호교류를 통하여 농업분야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얻었던 사례는 중국 연대시에서 개최하는 국제과일·채소박람회에 3회에 걸쳐 참여하여 우리 농산물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우리 시가 벤치마킹할 만한 도시로는 일본의 이치카와시의 원예작물 등이 대상작목이라고 판단됨. 7)송아지 경매시장은 번식우의 집단 지역인 부론면 또는 문막읍에 설치할 계획으로 접근성과 개발이 용이한 지역을 물색하였지만 적당한 부지를 확보하지 못하던 중, 원주축협에서 운영 중인 생축장 인근에 생균제 사업장과 송아지 경매시장 등을 포함한 “치악산한우 시범목장” 추진 계획에 따라 체계적인 종합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어 브랜드사업추진단에서 호저면 주산리 산 94번지를 사업부지로 결정하여 현재 관계법을 검토 중에 있음. |
회기 | 발언자 | 발언제목 | 일시 | 조회수 |
---|---|---|---|---|
제127회 | 한상국 | 원주시 교통문제 | 2008-12-03 | 125 |
제127회 | 권순형 | 원주종합문화예술회관 건립 | 2008-12-02 | 105 |
제127회 | 류화규 | 상수도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 | 2008-12-02 | 111 |
제127회 | 류화규 | 민·군항공기의 소음과 진동에 대한 대책 | 2008-12-02 | 102 |
제127회 | 류화규 |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개발사업 | 2008-12-02 | 104 |
제127회 | 류화규 | 복지농촌의 지향방안 | 2008-12-02 | 113 |
제127회 | 이준희 | 군부대 이전사업 | 2008-12-02 | 113 |
제127회 | 이준희 | 소도읍 육성사업 | 2008-12-02 | 104 |
제127회 | 이준희 | 원주시 농업발전의 비전 | 2008-12-02 | 113 |
제127회 | 이준희 | Clean&GreenWonju 및 녹색성장 시책과 환경오염 측정시설의 설치계획, 자동차부품 하청공장사업 | 2008-12-02 | 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