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관내 경로당 시설 현황과 운영실태 및 전면적인 개선방안 | |
---|---|---|
질문자 | 정하성 | ![]() |
답변자 | 주민생활지원국장 박웅서 | |
회기 | 제118회 | |
일시 | 2007-11-27 | |
조회수 | 107 | |
질문 |
1. 관내 경로당의 시설현황
2. 운영실태? 3. 경로당의 시설 및 운영에 대한 전면적인 개선방안? |
|
답변 |
1. 2007년 10월 말 현재 경로당 수는 343개소이며, 그중 33㎡ 미만이 12개소, 33㎡ 이상 66㎡ 미만이 44개소, 66㎡ 이상이 287개소이며, 건축년도는 5년 미만이 72개소, 5년 이상 10년 미만이 64개소, 10년 이상 15년 미만이 123개소, 15년 이상 20년 미만이 44개소, 20년 이상이 40개소
2.①첫째, 우리 시의 경로당 이용률은 2006년 12월 말 현재, 65세 이상 노인인구 수 29,415명 대비 53%로 15,584명이며, 그중 읍면 지역이 85%, 동 지역이 39%로 농촌과 도시의 이용편차가 큰 것 ②경로당 이용 만족도를 보면 2007년 상반기에 원주시와 대한노인회원주시지회에서 경로당 회원 908명을 대상으로 욕구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66%는 경로당 운영에 대해 만족하였으며, 12%는 불만족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또한 경로당에서 희망하는 프로그램으로 건강 및 여가 관련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3.첫째, 초고령화시대를 대비한 새로운 모델의 경로당 리모델링 방안에 대해서, 지역노인보건복지센터 건립이 가능한지를 검토하여 선진형 노인 이용시설이 되도록「업그레이드형 모델」을 개발하는 방안도 연구하겠음. 둘째, 노인계층의 양극화에 대비한 맞춤형 경로당의 신설방안에 대해서 답변드리면, 현재의 노인종합복지관에 지역별?연령별?의식수준별?계층별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운영하고, 앞으로 제2의 노인종합복지관 및 지역노인보건복지센터에도 확대·운영하겠음. 셋째, 경로당시설 및 운영에 대한 전문기관 용역에 의한 장기적인 마스터플랜 방안은, 현재 우리 시에서는 2005년에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하여 연차별로 시행하고 있습니다만, 경로당의 기능 쇄신과 노인의 다양한 복지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전문기관에 중장기 종합계획을 의뢰하겠음. |
회기 | 발언자 | 발언제목 | 일시 | 조회수 |
---|---|---|---|---|
제118회 | 김동희 | 원주시 재정운영 부실원인 및 향후 대책 | 2007-11-27 | 120 |
제118회 | 김주완 | 혁신·기업도시 개발과 병행하는 문화 인프라 확충방안 | 2007-11-27 | 100 |
제118회 | 김주완 | 30만 시대의 생활폐기물 업무 민간위탁 전반에 대하여 | 2007-11-27 | 102 |
제118회 | 이상현 | 강원감영제 관련 건 | 2007-11-27 | 102 |
제118회 | 장기웅 | 제1군수지원사령부 이전계획 및 이전 예정지역과 주민지원 대책 | 2007-11-27 | 109 |
제118회 | 장기웅 | 시군통합에 따른 법률위반 여부 및 제1군수지원사령부 이전에 따른 국방부 및 한국토지공사의 지원계획 | 2007-11-27 | 100 |
제118회 | 정하성 | 관내 경로당 시설 현황과 운영실태 및 전면적인 개선방안 | 2007-11-27 | 107 |
제118회 | 한상국 | 하천정비사업 계획 관련 건 | 2007-11-27 | 104 |
제118회 | 한상국 | 중부내륙의 거점도시로 도약할수 있는 시 차원의 특단의 방안 | 2007-11-27 | 104 |
제118회 | 한상국 | 내국인 30만 달성의 예측시기와 조기달성대책 및 행정서비스 향상을 위한 방안 | 2007-11-27 | 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