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무장저수지 활용 방안에 대하여(서면답변) | |
---|---|---|
질문자 | 유석연 | ![]() |
답변자 | 창조도시사업단 | |
회기 | 제198회 | |
일시 | 2017-12-14 | |
조회수 | 31 | |
질문 | 신평리 무장저수지를 관광레저를 즐길 수 있는 복합 문화체험공간으로 활용하거나 행구동 수변공원처럼 조성할 의향은 있는지 | |
답변 |
무장저수지 활용 방안에 대한 답변입니다.
무장저수지는 호저면 무장리와 지정면 신평리 일원에 위치하고 유역면적 550ha, 만수위 기준 둘레길이 2.54km인 약 14만 1천여㎡의 규모를 가진 저수지이며, 원주기업도시 건설에 따라 농업용수 대체시설인 양수장이 설치되어 2014년 6월 강원도에서 용도폐지 승인한 바 있습니다. 이후 시에서는 용도 폐지된 무장 저수지의 계획적인 개발을 통해 토지이용가치를 제고하고 지역발전을 도모하고자 무장저수지 개발사업 타당성조사 용역을 시행하여 2016년 6월 완료하였습니다. 건강하고 푸른 레저관광 육성 및 새로운 트렌드에 부합하는 유원지 조성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한 사업의 타당성 분석 결과, 토지매입대금 42억(토지를 저수지로 평가함) 원 포함 총 471억 원의 사업비가 소요되는 것으로 검토되었고 재원확보 부담 등 시 재정형편 상 직접 개발이 지난하여 민간 투자자 공모 등 민간개발 방식으로 추진하던 중, 2017년 3월 무장저수지의 관리청인 한국농어촌공사가 부지매각 검토를 위한 감정평가 결과 약 111억 원으로 산정된 바, 현 시점에서 공공에 의한 직접사업은 물론 민간개발 추진 또한 사실상 어려운 실정입니다. 향후 원주기업도시의 정착에 따른 유동인구 증가, 중앙선 복선 개통, 여주~원주 수도권 전철 건설 등 사업성과 개발 여건이 성숙 되가는 시기 등을 감안하여, 인근의 우수 자연자원인 섬강과도 연계하여 무장저수지의 개발 기본방향에 부합하도록 한국농어촌공사 또는 민간사업자 등과 공동 개발하는 방안을 포함하여 다각적으로 추진 방안을 검토할 계획입니다. |
회기 | 발언자 | 발언제목 | 일시 | 조회수 |
---|---|---|---|---|
제198회 | 위규범 | 상수도요금 및 하수도요금 현실화와 문제점에 대하여 | 2017-12-15 | 35 |
제198회 | 조창휘 | 원주플라워프루트월드 관광단지 조성사업 추진 현황 | 2017-12-15 | 55 |
제198회 | 허진욱 | 원주 추모공원 조성사업 이행 현황 | 2017-12-15 | 80 |
제198회 | 류인출 | 원주시청사 앞 현수막 지정게시대 설치 관련 | 2017-12-14 | 36 |
제198회 | 류인출 | 체육경기 및 레크리에이션을 즐길 수 있는 야외행사 전용 공간 설치 | 2017-12-14 | 38 |
제198회 | 유석연 | 무장저수지 활용 방안에 대하여(서면답변) | 2017-12-14 | 31 |
제198회 | 유석연 | 원주 미래 전철망 구축 방안에 대하여(서면답변) | 2017-12-14 | 39 |
제198회 | 이성규 | 안전한 교통 흐름 확보 및 보행 환경 개선에 대하여(둔전길 186 일원 및 도시계획도로 관련) | 2017-12-14 | 38 |
제198회 | 이은옥 | 중앙공원 민자공원 추진현황 관련 | 2017-12-14 | 32 |
제198회 | 전병선 | 원주시 협약서(MOU) 체결현황과 진행상황에 대하여 | 2017-12-14 |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