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원주시 공원도시의 성과와 향후과제 | |
---|---|---|
질문자 | 장영덕 | ![]() |
답변자 | 시장 원창묵 | |
회기 | 제229회 | |
일시 | 2021-12-15 | |
조회수 | 31 | |
질문 | 셋째, 원주 공원도시의 성과와 차기 시장에 남기는 향후 과제에 대하여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 |
답변 |
이어서, 원주시 공원도시의 성과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원주시는 조금만 외곽으로 나가도 치악산과 섬강 등 훌륭한 자연경관이 펼쳐지는 매력적인 도시지만, 우리 시민들의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대부분의 공원시설은 택지개발에 따른 기부채납 방식으로 조성되어 좀처럼 특색을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공원을 조성할 때 「걷고 싶은 푸른 공원도시」를 구현하고자 친수 휴게공간을 중점적으로 확보하고, 생활 속 여유로움을 즐기기 위해 특색 있는 여가 공간을 만들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대표적으로 행구수변공원의 물놀이장, 종합운동장 내 보물섬 물놀이장, 학성공원의 자연석 폭포, 여성가족공원의 숲속 물놀이장, 단구공원 열린광장의 음악분수, 일산공원의 벽천분수, 중앙공원의 바닥분수 등이 그 결과물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아울러, 대단위 아파트단지와 인접한 우리산이야기공원, 북원공원 등에도 물놀이장을 조성하여 아이들이 집 근처에서 쉽게 친수 공간을 즐길 수 있게 하였고, 원주시민이면 누구나 생활 속 여유로움을 즐기는 공원으로 만들고자 남산, 이화, 단계공원과 민간공원으로 추진한 중앙공원 내의 숲속 산책로를 어린이와 노약자들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무장애 둘레길로 특색 있게 조성하였습니다. 중앙공원 1구역의 경우에는 시민의 여가를 위해 기존의 한지테마파크 외에 문화예술회관을 추가 건립하여 각종 문화예술 행사 등을 쉽게 접하도록 하였으며, 현재 조성 중인 중앙공원 2구역에도 어린이문화예술회관, 민주생명기념관, 솔샘배움터 등을 조성하여 남녀노소 모두가 다양한 여가·문화 체험을 경험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특히, 중앙공원 1구역과 2구역은 보행육교로 연결된 7㎞의 둘레길을 조성하고, 단풍나무숲, 장식정원 등을 설치하여 경관적인 특색을 갖춘, 걷고 싶은 공원으로 조성하고 있습니다. 어린이공원 역시 아이들이 어디서든 쾌적한 공원을 접할 수 있도록 노후화된 공원을 리모델링하였으며, 입춘공원의 점핑놀이터, 너름공원과 북원공원의 어린이용 미니 짚라인 등 기존 어린이공원에선 찾기 힘들었던 시설을 설치해 새로운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마련했습니다. 또한, 판부면 서곡리에는 농촌 체험을 테마로 한 백운산 근린공원을 조성할 예정이며, 호저면 산현리에는 자작나무숲을 테마로 한 문화공원을 조성하여 언제 어디서든 시민들이 다양한 쉼터와 체험을 할 수 있는 명품 공원도시를 만들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걷고 싶은 푸른 공원도시 구현을 위해 꾸준히 노력한 결과, 2010년 취임 당시 2.23㎡에 불과했던 시민 1인당 공원 조성 면적이 2021년 말 현재 8.43㎡로 약 4배 정도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앞으로 2023년까지 진행 중인 공원이 완공되면 시민 1인당 공원면적은 15㎡에 이를 전망입니다. 다음은, 공원도시 조성과 관련한 차기 시정의 향후 과제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앞으로 차기 시정에서 2023년까지 현재 진행 중인 단구, 마장, 행구수변공원 2단계 조성사업을 차질 없이 마무리하고, 공원 일몰이 도래하고 있는 반곡공원과 봉화산공원 등도 착실히 대비한다면 모든 시민에게 사랑받는 진정한 명품 공원도시, 원주가 실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장영덕 의원님의 시정질문에 대한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회기 | 발언자 | 발언제목 | 일시 | 조회수 |
---|---|---|---|---|
제235회 | 최미옥 | 금빛똬리굴 디지털테마터널 조성사업 추진현황 | 2022-09-27 | 244 |
제235회 | 최미옥 | 중앙공원(1구역) 실내배드민턴장 부실공사의 원인 및 대책과 향후 운영방안 | 2022-09-27 | 172 |
제229회 | 전병선 | 서원주IC 개설 및 운영 관련 | 2021-12-16 | 21 |
제229회 | 류인출 | 원주시 하수관거 정비사업 현황 및 공동주택의 직관연결 현황 및 개선방안 | 2021-12-15 | 35 |
제229회 | 장영덕 | 원주시 공원도시의 성과와 향후과제 | 2021-12-15 | 31 |
제229회 | 장영덕 | 원주 다이내믹댄싱카니발에 대한 향후계획 | 2021-12-15 | 28 |
제229회 | 장영덕 | 소금산그랜드밸리에 대한 향후계획 및 과제 | 2021-12-15 | 17 |
제229회 | 조창휘 | 문막화훼특화관광단지 조성사업 관련 | 2021-12-15 | 19 |
제229회 | 조창휘 | 농업분야 예산의 획기적인 증액 필요 | 2021-12-15 | 13 |
제229회 | 황기섭 | 원주시 관설동 한옥마을 추진현황 | 2021-12-15 | 19 |